원격 해킹 의심 마이크나 카메라로 도청이나 도촬 당하면 구글에서 알려주나요 해킹이라는게 ip로 접속해서
마이크나 카메라로 도청이나 도촬 당하면 구글에서 알려주나요 해킹이라는게 ip로 접속해서 하는 거 라는데 그럼 도청이나 도촬인 원격 해킹도 ip접속 해서 하는 건가요? 그럼 구글에서 해킹 당한거 알려준다고 하더라고요 옛날에 한번 아무것도 안하고 있는데 아이폰에 마이크 주황색깔 불이 들어왔는데 이거 괜찮은거 맞나요 오류일까요
iPhone 마이크/카메라 해킹 (도청·도촬) 가능성과 대응법
1. "원격 해킹"으로 도청·도촬이 가능한가요?
일반적인 경우 거의 불가능합니다.
iPhone은 탈옥(jailbreak)하지 않은 한 악성 앱 설치가 매우 어렵고, 원격으로 마이크/카메라를 제어하는 건 iOS의 강력한 보안 시스템 때문에 극히 드뭅니다.
IP로 해킹한다? → 보통은 피싱·악성 앱을 통해 이뤄지며, 단순 IP만으로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2. "주황색 점(마이크) / 초록색 점(카메라)"이 계속 켜져 있을 때
정상적인 경우:
음성 메모, 통화, Siri, 카카오톡 보이스톡 등 마이크를 사용하는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일 수 있습니다.
iOS 버그로 인해 점이 사라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재부팅하면 대부분 해결)
위험 신호:
알 수 없는 앱이 마이크/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면 의심해야 합니다.
→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마이크/카메라에서 확인 가능.
3. "구글에서 해킹 알려준다"는 말의 진실
Google은 계정 해킹 (예: Gmail 로그인 시도) 을 알려줄 수 있지만, iPhone 자체의 도청·도촬 여부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만약 "귀하의 iPhone이 해킹되었습니다" 같은 팝업이 뜬다면 [삭제됨] 가짜 (피싱 [삭제됨]) 입니다.
이런 메시지는 사용자를 겁주어 악성 링크를 클릭하게 유도하는 수법입니다.
4. 만약 정말 해킹 의심된다면?
✅ 1. 악성 앱 확인 & 삭제
설정 → 일반 → iPhone 저장 공간 → 의심스러운 앱 제거
App Store 외부에서 설치한 앱이 있다면 반드시 삭제 (탈옥하지 않았다면 기본적으로 불가능).
✅ 2. 네트워크 활동 확인
설정 → 셀룰러/Wi-Fi → 특정 앱이 과도한 데이터를 쓰는지 확인.
✅ 3. Apple ID 보안 강화
2단계 인증 설정 (설정 → Apple ID → 비밀번호 및 보안)
알 수 없는 기기 로그인 여부 확인 (동일 메뉴 → "신뢰하는 기기")
✅ 4. iOS 최신 버전 업데이트
설정 → 일반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보안 패치 적용.
✅ **5. 완전 초기화 (최후의 수단)
설정 → 일반 → 전송 또는 iPhone 재설정 → 모든 콘텐츠 및 설정 지우기
백업 복원 시 iCloud 백업보다 컴퓨터(암호화 백업)를 권장 (악성 코드 감염 가능성 차단).
결론: "해킹보다는 오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iPhone은 보안성이 매우 강력해 도청·도촬 당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주황색 점이 10분 동안 계속 떠도, 재부팅 후 정상화되었다면 시스템 오류일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계속 같은 증상이 반복되거나, 이상한 앱이 보인다면 Apple 공식 지원(support.apple.com)에 문의하세요.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