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저축[삭제됨]에 질문 있습니다!
그럴 수 있어요. 이제 막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21살이라면, 제도나 저축상품이 너무 많고 복잡하게 느껴지는 게 당연하죠~
특히 청년 정책들은 조건이 까다롭고, 설명도 어렵게 되어 있어서 혼자 알아보는 건 정말 쉽지 않아요.
질문주신 내용에 대한 답을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보았습니다.
[질문1]
교내근로 중인데 세금을 안 떼고 받는거인데 신청 가능할까요..?
[답변]
가능할 수 있습니다. 교내근로는 ‘비과세 소득’이라 세금이 안 떼는 게 맞아요. 하지만 청년내일저축[삭제됨]는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만 신청할 수 있어요.
단순히 세금이 빠지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신청이 불가능한 건 아니고, 국세청에 소득 신고가 돼 있는지가 핵심이에요!
확인 방법:
홈택스에서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해서 ‘근로소득’이 1원이라도 기재되어 있으면 신청 가능해요~
만약 아무 소득도 없다고 뜨면 신청이 어렵고, 추후 방학 중 알바를 해서 소득이 잡히면 그때 신청 가능해요.
[질문2]
3년간 근로 활동 유지는 신청 이후 3년이 맞을까요??
[답변]
맞습니다. 청년내일저축[삭제됨]는 신청하고 가입 승인이 된 후부터 3년 동안 일을 하면서 통장을 유지해야 해요.
이 기간 동안 근로를 ‘완전히 쉬면’ 안 되고, 최소한 소득이 계속 있어야 해요.
예를 들어 대학교 다니면서 교내근로나 알바라도 계속 하고 있다면 문제없어요.
단, 6개월 이상 소득이 없으면 ‘중도해지’ 될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해요.
[질문3]
내년에도 이번 청년내일저축[삭제됨]를 신청할 수 있나요??
[답변]
가능하지만 보장되진 않습니다. 청년내일저축[삭제됨]는 정부 예산에 따라 매년 사업이 운영되는 방식이에요.
즉, 2026년에도 이 제도가 그대로 있다면 신청이 가능하지만,예산이 줄어들거나조건이 달라지면 신청 못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조건이 된다면 지금 신청하는 걸 추천합니다~
(만약 이번에 못 하더라도 내년에도 꼭 확인하세요!)
[질문4]
대학생이라 일 해도 교내근로, 방학 알바인데 21살이 할만한 저축 [삭제됨]가 뭐가 있을까요??
[답변]
표로 보기 쉽게 정리 해봤으니 참고해 보세요!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